[퍼스트경제=최현지 기자] BMW가 1월 수입차 판매량 1위에 올랐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지난달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 대수가 1만6222대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전월보다 45.3%, 전년 동기대비 6.6% 줄어든 숫자다. 1월 베스트셀링 모델은 BMW 520(993대), 아우디 A6 45 TFSI quattro(679대), 비엠더블유 X3 2.0(666대) 순이다. 정윤영 KAIDA 부회장은 “설 연휴로 인한 영업일수 감소, 일부 브랜드의 출고중지와 전기차 보조금 미확정에 따른 출고지연 등으로 1월 수입승용차 신규등록이 전년보다 감소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브랜드별 등록 대수 조사에선 BMW가 6089대로 가장 많았다. 이어 메르세데스-벤츠(2900대)와 아우디(2454대)가 나란히 2,3위를 차지했다. 다음은 볼보(1007대), 포르쉐(726대), 렉서스(576대), 랜드로버(475대), 쉐보레(360대, 미니(279대), 토요타(265대) 순이다. 배기량별 등록대수 부문에선 2,000cc 미만이 9,962대로 61.4%를 차지했다. 2,000~3,000cc 미만 4453대(27.5%), 3,000~4,000cc 미만 904대(5
[퍼스트경제=최현지 기자]삼성중공업이 제조 혁신 고도화를 위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조선소'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삼성중공업은 업계 최초로 견적부터 제품 인도까지 선박 건조 전과정(EPC)에서 생성되는 모든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하고 관제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전사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본격 적용키로 했다. SYARD는 기존 개별적으로 관리되던 방대한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기술 등을 활용해 빅데이터化 하고, 연결·분석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실시간 제공할 수 있는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플랫폼을 탑재한 경영관리 시스템임. SYARD 적용으로 데이터에 기반한 최적의 의사결정이 가능해 인력, 자재, 에너지 등 경영 자원의 효율적 관리, 리드타임 단축은 물론 위험요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제거할 수 있다. 삼성중공업은 4차 산업혁명, 인력부족 등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DT기술을 활용, 노동집약적 산업인 조선업을 플랫폼 기반의 고효율 기술집약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 '19년부터 생산, 설계, 업무 등 全 분야에 걸쳐 스마트化를 추진중이다. 지난해까지 △메타버스 기반 원격 품질검사 플랫폼 △대화형
[퍼스트경제=최현지 기자]지난해 전국 아파트 전월세거래량이 100만건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가 지속되자 매매수요가 임대차 시장으로 이동하면서 전월세 거래량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1일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2년 전국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은 총 105만9306건으로 집계됐다. 국토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1년 이래 가장 많은 수준이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1년 60만2416건 △2012년 60만5772건 △2013년 58만7208건 △2014년 64만3274건 △2015년 62만8006건 △2016년 63만8244건 △2017년 64만9739건 △2018년 72만1225건 △2019년 80만726건 △2020년 87만6032건 △2021년 95만9576건 순이다. 지난해 전체 임대차 거래중 월세 비중은 42.7%로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보였다. 지역별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 23만1846건 가운데 월세 거래는 9만8810건으로 비중이 42.6%에 달했다. 경기도는 전·월세 거래 34만 9711건중 15만1518건으로 43.3%, 인천은 전·월세 거래 7만51건 중 월
[퍼스트경제=최현지 기자]포스코케미칼이 인조흑연 음극재 생산능력 확대에 나선다. 포스코케미칼은 1월 31일 경북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에서 연산 1만톤 규모의 인조흑연 음극재 2단계 공장을 착공했다. 포스코케미칼은 2021년 12월 연산 8000톤 규모의 인조흑연 음극재 1단계 공장을 준공하고 국내 최초로 국산화에 성공한 바 있다. 내년 하반기 준공 예정인 2단계 공장이 들어서면 총 1만 8000톤 규모의 생산체제를 갖추게 된다. 이는 60kWh 기준 전기차 약 47만대에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현재 글로벌 전기차용 음극재 시장은 인조흑연이 주도하고 있다. 천연흑연 대비 배터리 수명은 늘리고 충전 시간은 단축시키는 강점이 있기 때문이다. KOTRA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글로벌 음극재 시장에서 인조흑연이 차지하는 비중은 83%에 달하며, 중국 기업들이 시장을 대부분 점유하고 있다. 포스코케미칼은 제철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콜타르를 가공하여 만든 침상코크스를 원료로 인조흑연을 제조한다. 침상코크스는 자회사인 포스코MC머티리얼즈로부터 공급받는데, 포스코는 제철 부산물 시장을 확보하고 포스코케미칼은 안정적으로 원료를 확보하는 등 자원순환 제고와 함께 그
[퍼스트경제=최현지 기자]연일 이어지는 영하권 날씨에 체온 손실을 막아주는 의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학생복업계는 차별화된 소재를 활용해 보온성을 강화한 교복을 선보이고 있으며, 여성복 및 스포츠, 아웃도어 브랜드도 방한 아이템을 앞세워 소비자를 공략하고 있다. ▶ “보온성·경량성↑”… 엘리트학생복, ‘에어 소프트 웜스판' 등 활용한 교복 눈길=새학기를 앞둔 시점, 학생복업계에서는 기능성 소재를 적용한 교복이 주목받고 있다. ㈜형지엘리트의 교복 브랜드 엘리트학생복은 보온성은 물론 경량성, 활동성까지 두루 갖춘 소재를 교복에 적극 활용하며 차별화에 나섰다. 지난해 선보인 '에어 소프트 웜스판' 소재는 동복 바지와 치마에 적용됐다. 해당 소재는 폴리에스터와 레이온 혼방 소재에 라이크라 원사를 더해 신축성이 우수하며, 섬유 가운데 빈 공간에 형성된 공기층이 외부 공기를 차단해 탁월한 보온성을 자랑한다. 60수 원사와 기모 안감을 적용해 부드러운 착용감을 느낄 수 있고, 기존 TR 원단(폴리에스터·레이온 혼방)에 비해 무게가 10% 이상 가벼운 것도 장점이다. 링클프리 구김방지 가공으로 장시간 깔끔하게 입을 수 있도록 했으며, 환경을 고려해 투명 페트병을
[퍼스트경제=최현지 기자]CJ제일제당이 글로벌 라이프스타일 기업으로의 도약을 가속화하기 위한 혁신적인 인사제도 구축에 나섰다.CJ제일제당은 구성원과 회사가 함께 성장하는 글로벌 인재 육성 제도 ‘CJ&me: Create your Journey(이하 CJ&me)’를 도입하고, 첫번째 프로젝트로 ‘글로벌 커리어 마켓’을 시행한다. 전세계 시장에 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육성해 CJ제일제당의 글로벌 사업 경쟁력을 키우고자 함이다. 최은석 CJ제일제당 대표는 ”진정한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는데 핵심이 되는 최고 인재 육성과 혁신적 조직문화를 선제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글로벌 인재들은 2025년까지 C.P.W.S 4대 성장엔진을 기반으로, 세계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는 데 주역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CJ&me’는 모든 구성원들이 국가간 이동과 협업을 보다 활발히 하고, 다양한 경로의 커리어 비전을 세울 수 있도록 한 인사제도다. 기존에는 한 국가, 권역 내에서의 승진과 역할 확대에 초점을 둔 수직적∙수평적 성장 경로였다면, 앞으로는 자신의 경력 개발 계획에 맞춰 해외법인 경험도 확대해 다양
[퍼스트경제=최현지 기자]GS리테일이 이색서비스 도입에도 무인화 바람을 일으킨다. GS리테일은 26일 서울 양천구에 위치한 GS더프레시 양천신은점에 ‘무인세탁함’을 설치 완료하고, 쇼핑 채널과 무인 세탁서비스가 결합한 이색 서비스를 테스트한다. 이번에 설치한 ‘무인세탁함’은 창립 31주년을 맞은 세탁 전문기업 크린토피아와 손잡고 진행한다. ‘무인세탁함’에는 자체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다. 고객의 간단한 조작으로 간편하게 세탁물을 접수할 수 있고, 서비스가 완료된 세탁물도 찾아갈 수 있다. 양사는 근거리 신선먹거리 쇼핑과 무인 세탁 서비스가 결합된 이색 무인 플랫폼 도입을 추진하며 고객 의견 청취 등 다각도의 테스트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운영상에서 나온 개선점을 보완하여 GS25와 GS더프레시에 순차적으로 도입해 나갈 예정이다. GS더프레시 양천신은점은 지난해 슈퍼 업계 최초로 금자판기를 도입한 매장으로 무인 이색 서비스에서 앞서가는 경쟁력을 갖춘 매장이다. SNS 등을 통해 골드바 구입 고객의 구매 후기가 다수 올라오면서 입소문으로 연결되며 골드바 구입에 관한 문의도 급증했다. 지난해 12월 금자판기 도입 이후, 매장에 들어온 전체 상품 문의 중 골드바
[퍼스트경제=최현지 기자]인터파크의 항공권 판매액이 지난해 1조원에 육박하며 엔데믹 시대에도 항공권 1등 플랫폼임을 증명했다. 인터파크에서 작년 1월부터 12월까지 발권된 국내선ㆍ국제선 항공권 판매액은 전년에 비해 232%(3.3배) 급증한 9584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여행업계에서 가장 높은 규모이다. 2년여간 억눌려왔던 해외여행 수요가 지난해 10월 11일 일본의 무비자 자유여행 허가를 기점으로 본격화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인터파크의 강점인 100여개 항공사와의 제휴를 기반으로 한 최고 수준의 항공권 가격 경쟁력, 편리하고 신속한 예약∙발권 서비스, 그리고 파격적인 프로모션도 주효했다. 단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에 기록한 1조3352억원에 비해서는 72% 수준이다. 인터파크는 작년 4분기부터 해외여행 리오프닝이 시작된 만큼 올해는 100% 회복은 물론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작년 4분기 판매액은 3485억원으로 지난해 전체 항공권 판매액의 36%에 달하며, 2019년을 9% 상회한다. 발권 인원 기준 노선별로 보면 근거리인 동남아(46%)와 일본(27%)이 73%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해외 도시 인기 순위도 일본
[퍼스트경제=최현지 기자] 한국콜마가 세종시에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화장품 생산기지를 신설한다. 최근 마스크 착용 의무 완화와 전세계 엔데믹에 따라 색조 화장품 등 국내외 시장 수요 확대에적극 대응하기 위해서다. 한국콜마는 축구장 8개 크기에 달하는 5만8895㎡(1만7816평) 규모 부지를 확보하고 연간 2.2억 개 생산이 가능한 화장품 공장을 건립한다고 밝혔다. 매입 부지에는 친환경 물류센터도 들어선다. 올해 1분기내 착공했다. 준공일은 오는 2024년이다. 공장이 준공되면 한국콜마는 기존에 보유한 국내 기초·색조 화장품 생산능력이 연간 8억700만 개로 늘어난다. 특히 색조화장품 생산캐파는 기존 대비 약 80% 향상된다. 이번 신규 공장 설계에 가장 주안점을 둔 것은 생산성 극대화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생산 공정에 적용한다. AI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불량률이 가장 낮은 최적의 공정을 찾아내고, 이를 품목별로 표준화해 빠르게 적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공장 내에는 할랄 보증 시스템도 구축한다. 최근 성장 가능성이 높은 화장품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중동, 동남아 할랄시장 수요에 대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친환경 물류센터도 함께 구축한다.
[퍼스트경제=최현지 기자]신세계아카데미가 직장인들을 겨냥한 특별한 강좌를 선보인다. 고물가·고금리 영향으로 재테크와 절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자산관리·노후 대비 금융상품·소액투자 비법 등을 소개하는 특강을 기획한 것이다. 신세계는 3월부터 시작하는 아카데미 봄학기 강좌에 140분간 진행하는 재테크 트렌드 특강 ‘머니트렌드 140’을 새롭게 소개한다. 머니트렌드 140은 신세계가 엄선한 부동산·주식·금융투자 전문가와 제네시스박, 슈앤슈 등 유명 인플루언서들이 직접 강의를 진행하는 테마 강좌이다. 2023년 부동산 전망, 유망 종목 등 최신의 재테크 트렌드를 소개하고 소액투자·고금리 속 부동산 생존 전략 등 전문가와 인플루언서의 노하우를 직접 들을 수 있도록 구성했다. 대표 강좌로는 새롭게 바뀐 2023년 부동산 정책에 대해 짚어주는 ‘2023년 부동산 전망 및 트렌드 집중분석’, 연금저축 계좌를 활용한 펀드 투자 비법을 알려주는 ‘재테크의 여왕 슈엔슈와 함께 파생금융상품 투자하기’ 등이 있다. 특히 신세계는 강의 중 강사와 소통하는 시간을 원하는 고객의 소리를 반영해 기존 일방향적인 수강 형태에서 벗어나 120분의 강의에 20분의 질의응답 시간을 별